지진이 발생한 후에도 또다시 땅이 흔들리는 것을 경험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는 단순한 여파가 아니라 과학적으로 ‘여진’이라 불리는 현상입니다. 오늘은 여진이 왜 발생하는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여진이란 무엇인가?
- 여진 뜻
여진(餘震, Aftershock)은 말 그대로 '본진' 이후에 발생하는 지진을 말합니다. 본진(Mainshock)이 지하의 지각판 경계에서 강한 마찰이나 균열로 인해 큰 에너지를 방출하면, 주변 지각 구조가 불안정해져 추가적인 변형이 일어나면서 크고 작은 지진이 이어지는 현상입니다.
이 여진은 보통 본진이 발생한 지점의 주변에서 발생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빈도와 규모가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드물게는 수개월, 수년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어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진이 발생하는 과학적 이유
1. 지각의 재정렬
본진으로 인해 지하의 암반이나 단층이 이동하면서 지각판 경계 부근의 응력(지각 내 압력)이 재분배됩니다. 이때, 갑작스럽게 바뀐 압력 환경에 의해 다른 지점에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이미 약해진 부분에서 추가적인 미끄러짐이 생기면서 여진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본진이 지각 내에 일종의 ‘균형 붕괴’를 일으키며, 그 여파로 주변에서 다시금 지진이 발생하는 것이죠.
2. 단층의 여운 현상
본진으로 움직인 단층은 완전히 안정화되지 않습니다. 마치 퍼즐 조각이 완전히 맞지 않은 상태처럼, 단층면이 조금씩 움직이며 에너지를 계속 방출하게 됩니다. 이런 미세한 조정 과정이 반복되면서 여진이 여러 차례 나타나는 것입니다.
여진의 특징
- 규모: 일반적으로 본진보다 작습니다. 그러나 간혹 여진도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빈도: 본진 직후에는 짧은 간격으로 자주 발생하다가, 점점 간격이 길어지고 발생 횟수도 줄어듭니다.
- 지속 기간: 수일에서 수년까지 다양합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여진은 1년 넘게 이어졌습니다.
- 위치: 본진의 진앙지를 중심으로 반경 수십 km 내에서 발생합니다.
여진도 위험한 이유
많은 분들이 본진이 끝나면 안심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여진 역시 충분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미 구조물이 약해진 상태에서는 작은 여진도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진 중 일부는 심리적 공포감을 유발하며, 재난 대응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본, 터키, 인도네시아 등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국가에서는 여진에 대한 경계도 본진 못지않게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여진에 대비하는 방법
- 본진 발생 후에도 지진 관련 속보나 공지사항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세요.
- 여진이 예상되는 기간 동안은 건물 외벽이나 균열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능한 한 무너질 위험이 있는 구조물 근처는 피하고, 지진 대피소 위치를 미리 확인해두세요.
- 정신적인 충격도 동반되는 만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상담이나 대화도 필요합니다.
지진 이후의 여진을 이해하고 대비하기
여진은 단순한 본진의 ‘후폭풍’이 아닙니다. 과학적으로는 지각판이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크고 작은 위험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본진 이후에도 계속되는 경계를 늦추지 않고,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진은 예측이 어렵지만, 대비는 가능합니다. 여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안전한 일상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일본 난카이 대지진 발생 루머의 진실
2025년 들어 일본 전역에 불안감을 조성하는 "난카이 대지진" 루머가 퍼지고 있습니다. 과연 이 대지진은 실제로 올 것인가? 과학적 근거와 역사적 사례를 통해 난카이 대지진의 진실을 살펴보고,
on-globalkorea.com
화제의 예언 만화 타츠키 료 '내가 본 미래' (일본 지진 예언 만화)
타츠키 료의 『내가 본 미래』는 일본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예언 만화로, 실제 사건과 놀랍도록 유사한 내용이 담겨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 만화는 미래예측과 재난
on-globalkorea.com
시간당 100mm 집중호우 체감, 얼마나 위험한가?
최근 기상이변으로 시간당 100mm 이상의 비가 쏟아지는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뉴스에서 '시간당 100mm 폭우'라는 표현을 자주 듣지만, 실제로 이 정도 비가 어느 정도인지 체감하기
on-globalkorea.com
▲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