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2020~2024년) 전국 음주운전 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북 전주시가 단일 기초지자체 중 음주운전 교통사고 사망자 수 1위라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단순히 통계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안전과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원인, 현황, 그리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전국 음주운전 사고 현황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총 71,279건에 달합니다. 이로 인해 1,004명이 목숨을 잃었고, 113,715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약 39건의 음주운전 사고, 그리고 약 0.55명의 사망자가 꾸준히 발생했다는 의미입니다.
숫자만 보아도 음주운전은 여전히 우리 사회의 큰 위험 요소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법적 처벌 강화, 홍보, 단속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사고는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제도뿐만 아니라 개인의 안전 의식이 절실히 필요한 부분임을 보여줍니다.
음주운전 사망사고 많은 지자체
통계에 따르면 전북 전주시에서는 최근 5년간 938건의 음주운전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그 결과 26명이 사망, 1,549명이 부상했습니다. 이 수치는 단일 기초지자체 기준 전국 최다 사망자 수로,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전주에 이어서 창원 25명, 고양 21명, 서산 18명, 제주·포천 각각 1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사고 건수로만 보면 경기 수원시가 1,700건 이상으로 가장 많았지만, 사망자 수는 전주시가 가장 많았습니다.
2024년 화제가 되었던 포르쉐 만취 음주운전 사건도 전주에서 있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만 19세 여성 1명이 사망하고 같은 나이 여성 1명은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으나 비교적 가해자에 대한 처벌 수준이 미약해서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사고 건수가 많은 지자체도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전국 229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중에선 수원시가 1천705건(하루 1.6건꼴)으로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가장 잦았습니다. 이어 청주시 1천590건, 천안시 1천489건, 서울 강남구 1천480건, 고양시 1천407건, 평택시 1천389건, 화성시 1천370건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인구 대비 사망률/사고율이 아닌 단순 수치로 조사한 결과라서 지역별로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음주운전 사고가 가장 적은 곳은 인구가 비교적 적고 차량도 적은 울릉군으로, 최근 5년간 5건이 발생해 7명이 다쳤습니다.
음주운전 사고 예방을 위한 필요 조치
이번 통계는 단순히 숫자로 끝날 문제가 아닙니다. 전국 각 지자체가 다시 한 번 음주운전 근절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강화해야 할 시점입니다.
필요한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발 지역 집중 단속 강화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도로·시간대를 분석해 단속을 강화해야 합니다. - 지역 맞춤형 음주운전 예방 캠페인
단순한 경고 방송보다는 해당 지역의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홍보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택시·대리운전 접근성 개선
음주 후 자가 운전을 하지 않도록 대체 이동 수단을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 - 사후 관리 체계 강화
음주운전 전과자 재발 방지 교육 및 모니터링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음주운전은 단순한 교통법규 위반이 아닙니다. 한 순간의 선택이 한 사람의 인생, 한 가족의 미래를 송두리째 앗아갈 수 있는 명백한 범죄입니다. 특정 도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오늘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이 계신 지역에서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택이 모이면,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와 사망자는 줄어들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조사가 주는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음주운전은 언제나 제로(0)여야 한다.” 단속이나 처벌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의 경각심입니다. 오늘 하루, 작은 약속을 다시 다짐해봅니다.
“술을 마셨다면 절대 운전대를 잡지 않겠습니다.”
여러분의 안전이 곧 우리의 사회를 지키는 힘입니다. 함께 노력해, 더 이상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도로 불법 주차 기준, 어떤 구역에서 과태료가 부과될까?
불법 주차는 단순한 교통 불편을 넘어 사고 위험 증가, 긴급 차량 통행 방해, 지역 주민 갈등까지 유발하는 사회적 문제입니다. 특히 지정된 금지구역에 차량을 세울 경우 적발 즉시 과태료 또는
on-globalkorea.com
▲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