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시작한지 5개월 쯤 되었습니다. 이제 세컨블로그도 만들어보고 중간 점검도 해보려고 구글 서치콘솔 색인은 잘 되고 있나 확인해봤더니 무슨 색인 된 페이지가 60여개 밖에 안되어 있는 것을 보고 충격에 빠졌는데요. 알고보니 /rss를 등록 안하고 그 동안 포스팅을 계속 하고 있었군요. 잡블로그라 너무 가볍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건 /rss를 늦게나마 추가하고 경과를 지켜보니 업데이트 날짜가 같은 날짜로 계속 멈춰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색인 생성 페이지 업데이트 안되고 있는 중
이 글 쓰는 날짜는 8월 16일이고 업데이트 날짜는 25.08.12에 멈춰있습니다.
이전까지는 하루 단위로 되어있는 것 같은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에
글 하나하나 색인 생성 여부를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크롤링은 계속 진행 중
URL검사로 최근글 하나하나 진행해보니 최근 글 중 몇 개는 색인이 되어 있음이 확인됩니다. 굳이 수동으로 색인 생성 요청을 하지 않은 페이지도 생성이 되어 있는 경우인데요. 결과적으로 크롤링은 진행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 왜 색인 생성 페이지는 업데이트가 안되고 있는 걸까요?
직접 내린 결론 : 색인 생성 페이지는 큰 의미 없다
혼란스러움에 이것저것 정보를 찾아보니 위 색인 생성 페이지는 큰 의미는 없는 듯 합니다. 저 페이지 자체를 업데이트 안했다는 것이지 개별 페이지 색인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아마도 저 막대 그래프 있는 페이지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이고 그 시점의 모든 페이지 색인 현황을 나타내는건 아니라는겁니다. 개별 페이지 하나하나의 색인 상태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색인 생성 페이지는 '보고서' 같은 개념이라고 보는게 맞는 듯 합니다.
따라서, 맨위 막대그래프 있는 색인 생성 페이지는 큰 의미 없다. 최근 글에 일정 시간이 지난 후, URL검사를 통해 색인 여부가 확인된다면 개별 페이지 색인에는 문제가 없는 것임.
이 과정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사실은 그래도 블로그 초기에는 구글 서치콘솔에 수동으로 색인을 하는게 좋다는 것. 블로그 운영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을때 까지는 최대한 수동으로 색인 요청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겠습니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확인 방법 4가지
인터넷 트렌드와 이슈를 빠르게 파악하려면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가 종료됨에 따라 가장 간편하게 실시간 이슈를 확인하는 방법이 사
on-global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