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8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이미숙 창원대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이 일도 하지 않고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상태로 지내는 경우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고학력 청년의 비중까지 증가하면서 사회 전반에 큰 우려를 낳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은 무려 연간 10조 원이 넘는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단순한 개인 문제를 넘어 국가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쉬었음' 청년이 늘어나는 이유
2019년 43만 명 수준이던 청년 ‘쉬었음’ 인구는 2023년 48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청년 인구 전체가 줄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율은 4.5%에서 5.5%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대학교 이상 학력을 가진 청년들의 ‘쉬었음’ 비중이 늘어난 점은 심각합니다. 2019년 16만 명 수준에서 2023년에는 약 18만 명으로 늘어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37% 이상으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단순히 학력이 낮아서 생기는 문제가 아니라, 경기 불확실성과 취업시장 악화로 인해 고학력 청년조차 노동시장 진입을 미루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경제적 손실 규모
‘쉬었음’ 청년 증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2019년 약 8조 9천억 원이던 손실 규모는 2023년 11조 5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5년간 누적 금액은 53조 원을 넘습니다.
취업 청년의 예상 월소득이 약 217만 원인 반면, ‘쉬었음’ 청년은 약 180만 원으로 추산돼 83% 수준에 불과합니다. 여기에 사회보장 부담금까지 고려하면, 청년층의 비활동은 단순한 개인적 소득 감소가 아닌 사회 전체가 떠안아야 할 막대한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해법은 있나?
전문가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맞춤형 정책 지원: 고학력 청년과 저학력 청년 각각의 상황에 맞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조기 발견 및 지원 연계: 학교, 지자체, 복지기관이 협력해 ‘쉬었음’ 상태를 빠르게 발견하고 필요한 지원을 연결하는 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 심리·회복 지원 강화: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 회복형 장학 제도, 청년 동행 매니저 등 청년들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지원도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업 활력 제고: 청년들이 진입할 수 있는 신규 고용 여력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 환경을 개선하는 정책도 중요합니다.
청년 문제는 곧 국가 미래
‘쉬었음’ 청년의 증가는 단순히 개인의 일시적 문제로 치부할 수 없습니다. 이는 국가 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직결된 구조적 위기입니다. 고학력 청년들이 노동시장 밖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회가 잃는 비용은 커지고, 미래의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통계 분석이 아니라, 변화하는 청년 세대를 어떻게 다시 경제 활동에 참여하도록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인 해법과 실행 의지입니다.